React 개발 시 함수형 컴포넌트를 사용한다면 React Hooks기능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.
여기서 가장 중요한 useState를 알아보겠습니다.
useState란?
: 함수형, 클래스형 컴포넌트의 상태를 관리하거나 변경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React Hook입니다.
useState는 초기 입력될 상태 값을 인자로 받아 상태 값과 해당 상태를 업데이트하는 함수를 쌍으로 반환하게 됩니다.
형태는 이와 같습니다.
const [state, setState] = useState(초기값);
state는 저장된 값이고, useState( ) 안의 인자값을 가지게 됩니다.
setState는 state의 변경된 값을 저장할 수 있게 만들어 줍니다.
setState를 사용해서 state를 변경하면 해당 컴포넌트는 화면에 다시 랜더링 하게 됩니다.
예시
import {useState} from "react";
function App() {
const [number,setNumber] = useState(0);
const handleClick = () => {
setNumber(number + 1)
}
return (
<div>
<span>{number}개</span>
<button onClick={handleClick}>추가하기</button>
</div>
);
}
export default App;
만약 이런 예시 코드를 작성한다면
이런식으로 추가하기 버튼을 클릭할 때마다 number값에 +1을 하게 되고 그 값이 <span>테그 안의 {number}값에 랜더링하게 됩니다.
'🌼 T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Vue.js의 ref,reative 상태관리와 computed설정 (0) | 2024.12.02 |
---|---|
SSL은 무엇인가? WSL에서 SSL 발급받기 (3) | 2024.11.03 |
Virtual DOM (가상DOM) - React, Javascript (2) | 2023.10.26 |
Vercel 빌드 중 " , ' 따옴표 오류 -> HTML 엔티티 (0) | 2023.10.23 |
유저 랭킹기능 구현 - Next.js, Firebase, reactQuery (0) | 2023.09.15 |